会员体验
专利管家(专利管理)
工作空间(专利管理)
风险监控(情报监控)
数据分析(专利分析)
侵权分析(诉讼无效)
联系我们
交流群
官方交流:
QQ群: 891211   
微信请扫码    >>>
现在联系顾问~
热词
    • 2. 发明授权
    • 가설보조기둥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역타설 지하구조물축조 공법
    • 使用临时辅助柱的向下钢筋混凝土地下结构
    • KR100625115B1
    • 2006-09-20
    • KR1020040038635
    • 2004-05-29
    • (주)새길이엔시
    • 최정범유영록신승목홍찬유
    • E02D29/045
    • 본 발명은, 시공시 상부에 재하되는 하중을 가설보조기둥(5)을 설치하여 지지기둥(4)과 분배시키므로써, 지지기둥(4)의 규모를 축소시킬 수 있고, 철골의 소형화, 천공의 소구경화를 도모할 수 있는 철근콘크리트 역타설 지하구조물 축조 공법을 제공한다.
      지하 구조물이 축조되는 구역에 H형강을 이용한 일반 가설흙막이벽(15)이나 지하연속벽(2)을 이용한 영구벽체를 설치하여 토압이나 수압 등 외력에 대응하고, 지지기둥(4)과 가설보조기둥(5)이 설치될 곳에 천공 후 표준화된 소형H형강이나 표준화된 소형 강관을 근입시킨 후, 하중전달을 위한 전단 연결재(7)를 설치한 다음, 굴착 작업을 실시하고 가설보조기둥(5)의 드로프 패늘(6)을 포함한 철근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작업을 지하층 상부에서부터 구조물의 최하단까지 역타설로 완료한 후에 외벽체(11)와 지지기둥(4)을 순타설하여 지하 구조물을 축조한 다음 가설보조기둥(5)을 절단, 제거하여 지하구조물을 완료하는 공법이다.
      지상에서 지하로 역타설로 시공되는 공법의 특성상 지지기둥(4)은 1,2차로 구분하여 시공하고 있으며 1차는 시공시 작용하는 상부 연직력을 말뚝 개념의 철골로서 지지하고 지하 전층의 보, 슬래브 타설이 완료된 후에는 2차로 철골의 외곽을 철근 콘크리트 기둥으로 설치한다. 따라서 1차 지지기둥(4)으로서 시공되는 철골은 가설의 의미가 있으므로 최소화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가설보조기둥(4)을 추가 설치하여, 지지기둥의 하중 분담을 최소화한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 3. 发明公开
    • 확장형 앵커의 내하체 구조 및 시공방법
    • 膨胀锚固体结构和执行方法
    • KR1020120005184A
    • 2012-01-16
    • KR1020100065797
    • 2010-07-08
    • (주)새길이엔시
    • 신승목홍찬유장현주
    • E02D5/80E02D5/54E02D5/62E02D5/44
    • E02D5/80E02D5/44E02D5/54E02D5/62E02D2600/30
    • PURPOSE: A load-bearing structure of an expansion anchor and an installation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secure a stable tensile force even in soft ground. CONSTITUTION: A load-bearing structure of an expansion anchor comprises a multi-expansion rod, top and bottom couplers(40,50), and a nozzle(60). The multi-expansion rod comprises outer and inner expansion rods(10,20) having a plurality of expansion wings(12). The top and bottom couplers are installed on the top and bottom of the multi-expansion rod. The nozzle, having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61), is installed on the leading end of a grout hose(70) inserted into the top coupler so that the leading end is reached to the bottom coupler.
    • 目的:提供一种膨胀锚的承重结构及其安装方法,以确保即使在软土中也能获得稳定的拉伸力。 构成:膨胀锚的承载结构包括多膨胀杆,顶部和底部联接器(40,50)和喷嘴(60)。 多膨胀杆包括具有多个膨胀翼(12)的外部和内部膨胀杆(10,20)。 顶部和底部耦合器安装在多重膨胀杆的顶部和底部。 具有多个排出孔(61)的喷嘴安装在插入顶部联接器的灌浆软管(70)的前端,使得前端到达底部联接器。
    • 4. 发明授权
    • 확장형 앵커의 내하체 구조 및 시공방법
    • 扩展锚体结构和执行方法
    • KR101253496B1
    • 2013-04-16
    • KR1020100065797
    • 2010-07-08
    • (주)새길이엔시
    • 신승목홍찬유장현주
    • E02D5/80E02D5/54E02D5/62E02D5/44
    • 본 발명은 확장형 앵커의 내하체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반 내에서 다중 확장봉의 다수의 확장날개가 외부로 벌어지면서 견고한 지반에서는 지반 내에 꽉 차게 끼이는 형태로 공간을 확보하고 연약한 지반에서는 지반을 밀어내며 공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확보된 공간으로 그라우트를 주입하여 그라우트 품질을 양호하게 하는 것으로 특히 연약한 지반에서도 안정적으로 인장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원형 파이프의 상단과 하단 내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외주면을 상,하로 길게 다수 개로 절개하여 확장날개를 형성하고, 확장날개의 외주면 상,하측과 중간 부분에 구멍이 관통되게 형성된 외부 확장봉과, 외부 확장봉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 확장봉과 동일한 형태를 가지면서 지름이 작은 다수의 내부 확장봉으로 이루어진 다중 확장봉과; 상기 다중 확장봉의 상단과 하단에 체결되며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내면과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돌기를 갖는 상,하단 커플러와; 상기 상단 커플러로 삽입되는 그라우트 호스의 선단으로 외면에 다수의 배출공을 갖는 원통형 노즐을 설치하고, 노즐의 선단이 하단 커플러의 위치까지 도달하도록 설치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내,외부 확장봉의 확장날개 내측으로 두 장의 원형 천을 이중 박음질하여 형성된 패커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5. 发明公开
    • 가설보조기둥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역타설 지하구조물축조 공법
    • 使用临时辅助柱的下行加固混凝土地下结构
    • KR1020050113450A
    • 2005-12-02
    • KR1020040038635
    • 2004-05-29
    • (주)새길이엔시
    • 최정범유영록신승목홍찬유
    • E02D29/045
    • E02D29/045E02D2200/1685E02D2300/0029
    • 본 발명은, 시공시 상부에 재하되는 하중을 가설보조기둥(5)을 설치하여 지지기둥(4)과 분배시키므로써, 지지기둥(4)의 규모를 축소시킬 수 있고, 철골의 소형화, 천공의 소구경화를 도모할 수 있는 철근콘크리트 역타설 지하구조물 축조 공법을 제공한다.
      지하 구조물이 축조되는 구역에 H형강을 이용한 일반 가설흙막이벽(15)이나 지하연속벽(2)을 이용한 영구벽체를 설치하여 토압이나 수압 등 외력에 대응하고, 지지기둥(4)과 가설보조기둥(5)이 설치될 곳에 천공 후 표준화된 소형H형강이나 표준화된 소형 강관을 근입시킨 후, 하중전달을 위한 전단 연결재(7)를 설치한 다음, 굴착 작업을 실시하고 가설보조기둥(5)의 기둥머리(6)를 포함한 철근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작업을 지하층 상부에서부터 구조물의 최하단까지 역타설로 완료한 후에 외벽체(11)와 지지기둥(4)을 순타설하여 지하 구조물을 축조한 다음 가설보조기둥(5)을 절단, 제거하여 지하구조물을 완료하는 공법이다.
      지상에서 지하로 역타설로 시공되는 공법의 특성상 지지기둥(4)은 1,2차로 구분하여 시공하고 있으며 1차는 시공시 작용하는 상부 연직력을 말뚝 개념의 철골로서 지지하고 지하 전층의 보, 슬래브 타설이 완료된 후에는 2차로 철골의 외곽을 철근 콘크리트 기둥으로 설치한다. 따라서 1차 지지기둥(4)으로서 시공되는 철골은 가설의 의미가 있으므로 최소화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가설보조기둥(4)을 추가 설치하여, 지지기둥의 하중 분담을 최소화한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